가치 투자에 대한 단상 – PER (1)
가치 투자에 대한 단상 – PER (1)
잘못된 가치투자의 논리적 모순
가치투자란 ‘기업가치가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기업’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것을 매수하는 가격의 문제는 아주 비이성적인 정도만 아니라면, 적당한 가격에 매입하면 되는 것이다.
더 근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과연 기업가치가 얼마나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상승할수 있는가를 관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기업가치’를 보증받기 위해서 우리는 소비자 독점력, 훌륭한 경영진, 시장점유율, 기업브랜드 등등을 담보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저평가에 집착하는(즉, 저PER에 집착하는) 담배꽁초형 투자자들은 가치주의 척도를 대부분 PER 등의 계량적수치에서 찾는다. 더 나아가 계량적 투자자들은 저PER주를 찾아내고 가능한 한 낮은 PER이나 PBR에 사는 것을 가치투자라 주장한다. 한발 더 나아가 계량적 투자자들은 낮은 PER가 높은 PER가 되면 파는 것이 가치투자라고 말한다.
즉, 낮은 가격에 사서 기업가치에 근접하면 파는 것을 가치투자라고 말한다.
이것은 가치투자가 아니라 계량적 투자일 뿐이다. 저PER에 집착하는 계량적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한다는 자신들의 주장과는 정반대로 평생 가치주를 살 수 없다. 결국 저PER에 집착하는 그들에게 지상 최대의 가치주는 2, 3류 주식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2, 3류 주식은 주가의 변동은 있을지 모르나 기업가치의 상승은 없거나 미미할 것이다.
그래서 2, 3류 주식은 다시 가격이 원위치로 하락할 수 밖에 없는 것이며 그대로 보유하고 있으면 본전이 되거나 수익률이 현격히 줄어든다. 그래서 담배꽁초형 계량적 투자자들은 ‘싸게 사서 기업가치에 근접하면 다시 팔아야 한다’는 아주 이상야릇한 단타논리를 갖다 붙일 수 밖에 없는 스스로의 함정에 빠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