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현황과 전략
미국 증시 현황과 전략
최근 유럽 주요국 증시
최근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럽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에 대응한 채권매입 규모와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영향을 받지 못하고 하락 마감한 모습입니다.
뉴욕증시
반면 뉴욕증시는 최근까지 인플레이션 공포가 부담을 줬지만, 막상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나오자 시장은 반대로 움직였고, 전년 대비 5% 폭등한 것으로 나왔으나 우려는 크지 않으면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그동안 미국증시의 투자자들은 물가 상승이 기업들의 비용을 상승시키고 금리 인상을 촉발하는 동시에 연방준비제도가 완화적 통화정책을 수정하게 만들 수 있다며 우려했기에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미국증시는 장 초반 소비자물가가 일시적인 상승일 뿐이란 분석에 상승 폭을 키웠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 확산에 대한 우려로 국내증시의 매물이 출회 되어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는 시선이 속출하는 상황입니다.
반면 미국증시가 상승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시장은 소비자물가지수 급등세에 대해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내다보고 있으며, 이는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한 우려를 낮춘다는 점에서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기저효과라는 분석이 많은 만큼 상승 폭이 점차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공급망 차질이 이어지고 임금도 상승하면서 물가 하단이 지지될 의견이 있어 국내증시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였습니다.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 회의
일각에서는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 성장률 상향 조정 등을 발표했음에도 비둘기적인 성향을 보였던 것과같이 FOMC도 이와 비슷한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기에 국내증시는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미국 시장에선 공포지수인 시장 리스크 지수 등이 매우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해당 지수는 6월FOMC가 종료된 후에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계속될 것이란 의견이 많은 만큼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연방준비제도
이어 다음주 FOMC에서 연방준비제도는 다시 한번 인내심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고,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무엇보다 고용시장의 회복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 이점 참고하시면서 투자하시면 좋겠습니다.
인프라 투자 협상이 결렬
최근 바이든 대통령이 공화당의 상원의원과 인프라 투자 협상이 결렬됐다고 발표하였으며, 투자 규모와 지원 범위그리고 증세 여부 등 주요 쟁점에 대해 양자 간의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는 설명이 있는 만큼 국내증시는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반면 미국증시가 물가 지표에 대한 경계로 혼란한 모습을 보였으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한데다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이 야당과 인프라 투자 협상이 결렬됐다고 발표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물가 예상 밖 서프라이즈
한편 4월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예상 밖의 서프라이즈를 보이면서 시장의 단기 불안을 유발한 만큼 국내증시도 유사한 현상이 출현할 가능성을 염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기에 자신만의 포트폴리오 작성하실 때 이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